-
2024 사이버 보안 최신 동향 세미나 참석 후기 TOP NEW
2024 사이버보안 최신 동향 세미나 오늘은 ‘2024 사이버보안 최신 동향 세미나’에 다녀왔습니다. 이 세미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에서 주최했으며, ‘2024 정보보호 인재양성 교육사업 성과교류회’ 행사의 1부로 진행되었습니다. 저는 평소 개발자임에도 보안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없고, 사이버 보안 아키텍처나 해킹 시도에 대한 방어 대책에 대해 잘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통해 식견을 넓히고 자사 시스템에 적용해 보고자 참석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 발표자의 PPT를 담은 책자 삼정호텔 2층에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깔끔한 홀과 체계적인 안내, 그리고 아... Read More
-
2024 카카오 테크밋 (Kakao Tech Meet) 후기 TOP NEW
2024 카카오 테크 밋 (Kakao Tech Meet) 2024 카카오 테크 밋 (Kakao Tech Meet) 지난 12월 18일, ‘2024 카카오 테크밋’에 다녀왔습니다. 퇴근 후 저녁 시간(19:00~)에 진행되어 참여가 가능했을 뿐 아니라, 흥미로운 기술 세션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기대가 되었습니다. 카카오 테크밋은 작년에 이어 개최된 카카오의 기술 세미나로, 올해는 AI와 프론트엔드(Frontend)를 주제로 다뤘습니다. *카카오 1층에서 바라본 사옥 사실 처음 가보는 카카오 사옥에 진짜 ‘와….’소리가 절로 나오더라구요. 이게 판교구나 싶은 카카오 사옥이었습니다. 행사는 ‘카카오 판교아지트 ... Read More
-
CAS 알고리즘과 Atomic 클래스 -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락 없는 동기화 TOP NEW
여는 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동시성 프로그래밍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Java는 멀티스레드 환경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동시성 도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부상과 함께 등장한 Lambda 표현식은 간결하고 직관적인 코드를 가능하게 하여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그러나 Lambda 표현식이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활용될 경우, 자원의 비동기적 접근으로 인해 Race Condition과 같은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Java의 기존 동시성 관리 방식은 ‘synchronized’ 키워드나 ReentrantLock과 같은 락 기반 ... Read More
-
캐스트 모델(Cast Model)정리 TOP NEW
1편 - L2, L3, L4에서 Switch의 역할 2편 - Public IP, Private IP 어디에 연결할까 3편 - 네트워크 개념 및 용어 간략정리 Cast Models Cast Models(전송 모델)은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에서 하나 또는 여러 목적지로 전달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아래서 얘기할 각각의 전송 모델은 각각의 통신 목표와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달을 최적화 하는것이죠. Unicast(유니캐스트) [1:1통신] Unicast는 출발지와 목적지간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1:1 형태의 전송 모델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고 기본적인 전송 방식입니다. 다음과... Read More
-
네트워크 개념 및 용어 간략정리 TOP NEW
시리즈 1편 - L2, L3, L4에서 Switch의 역할 2편 - Public IP, Private IP 어디에 연결할까 4편 - 캐스트 모델(Cast Model)정리 여는글 지난 포스팅(인터넷 계층)에 이어서 작성됩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개념 설명을 더 잘이해하기 위한 몇가지 용어들을 모아봤습니다. 각각 자세히 다룰 수 있는 소재들이지만 나중에 시간이 되면 다뤄보도록하고 간단하게 개념들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Protocol Protocol은 ‘표준’입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규칙’, ‘표준’으로 정의합니다. 직역하면 ‘규약’이라는 뜻으로 프로토콜은 신호처리, 오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