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여는글

지난 포스팅(인터넷 계층)에 이어서 작성됩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개념 설명을 더 잘이해하기 위한 몇가지 용어들을 모아봤습니다. 각각 자세히 다룰 수 있는 소재들이지만 나중에 시간이 되면 다뤄보도록하고 간단하게 개념들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Protocol

Protocol은 ‘표준’입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규칙’, ‘표준’으로 정의합니다. 직역하면 ‘규약’이라는 뜻으로 프로토콜은 신호처리, 오류 처리, 암호, 인증, 주소 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통신 규약입니다.

Routing

Routing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 우선순위 등를 기반으로 경로가 결정됩니다. 다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할 OSPF, BGP, RIP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정보를 공유하고 경로를 최적화 합니다.

VLAN (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트래픽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VPN (Virtual Private Network)

직역하여 가상 사설 네트워크로 인터넷을 통해 장치 간에 사설 네트워크 연결을생성하는 기술입니다. VPN은 퍼블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익명으로 전송하는데 사용합니다.

DMZ (Demilitarized Zone)

DMZ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있는 중간 네트워크입니다. DMZ 앞뒤로 방화벽을 설치해서 운영합니다. 주로 웹 서버, FTP 서버 등이 DMZ에 배치됩니다.

Subnet Mask

Subnet Mask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데 사용됩니다.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은 IP 주소를 서브넷 마스크와 결합하여 네트워크를 보다 유연하게 분리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Ingress & Egress

Ingress는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데이터 트래픽, Egress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로 나가는 데이터 트래픽을 얘기합니다.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MTU는 네트워크에서 전송 가능한 최대 패킷 크기를 의미합니다. MTU가 너무 크거나 작으면 데이터 전송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Bandwidth & Latency

Bandwidth는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양을 말합니다. 100 Mbps Bandwidth라고 말한다면 이는 1초에 최대 100Mb(Megabit)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Latency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Qos(Quality of Service)

QoS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데이터 트래픽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품질을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CDN(Content Deilevery Network)

CDN은 데이터를 전 세계 분산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로드 타임을 단축하고 성능을 개선합니다.

Packet

Packet은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눠 전송한 뒤 목적지에서 재조합합니다.

Jitter

Jitter는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시간이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Throughout

Throughput은 일정 시간 동안 네트워크를 통해 성공적으로 전송된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

ACL (Access Control List)

ACL은 네트워크에서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 제어하는 규칙으로, 특정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습니다.